본문 바로가기
사범대 교육대학원 교육봉사

교육봉사 시작하기(수강신청이 먼저냐, 봉사가 먼저냐?)

by ⩇⥼☫⦃☸︎ 2022. 4. 15.

교육봉사란?

사범대, 교육대학원에서 교직이수를 위해서는 필수로 '교육봉사' 2학점을 들어야 한다. 실습과목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총 60시간의 교육기관 관련 무급 봉사가 원칙이며, 학교에 따라 일부는 영상 강의로 대체하기도 하니 꼭 알아보자.


교육봉사 시작하기

60시간 채우기

 수강 신청 전에 적당한 기관을 찾아 봉사를 하고 확인서류에 도장까지 완료하는 경우도 있다. 봉사 기간과 수강 기간이 달라도 된다. 물론 그 학기에 서류 심사를 받아야 하니 당연히 미래에 할 봉사는 불가능하다. 그 학기가 끝나기 전까지의 봉사는 유효하나 학교 입학 전에 했던 것은 안 된다. 다시 말해 미리 봉사를 해 놓고 나중에 수강신청을 해도 된다. 

서류 준비해 두기

 학교에 제출할 서류를 꼭 알아보고 봉사하면서 작성해 두자. 예를 들어 2학년 2학기에 교육봉사 수강신청을 할 예정이다. 그런데 나는 1학년 때 시간이 많다. 그러면 1학년일 때 봉사를 할 수 있다. 다만 학교에서 요구하는 서류도 작성해 두어야 한다. 안일하게 서류 확인을 미루었다가는, 사진이나 일지를 내야하는 경우에는 뒤늦게 밀린 일기 쓰듯 억지로 기억을 끄집어 내거나 다시 사진을 찍으러 가야되거나 심지어 여러 날의 사진이 필요해 뜻하지 않은 추가 봉사를 초래할 수도 있다. 

  1. 일지가 있는가? 
  2. 사진을 찍어야 하는가?
  3. 기관의 직인이나 도장을 받을 수 있는가?
  4. 봉사 날짜와 시간은 반드시 기입해 두자

수강 신청하기

 이제 수강 신청을 하기로 마음 먹었다면, 언제, 어디서 봉사할지를 염두에 두고 나머지 시간표를 짜야할 것이다. 너무 빡빡하게 시간표를 짜면 지쳐버릴 수도 있고 오가는 시간이 부족할 수 있다. 미리 봉사를 해둔 사람은 예외다.

 수강 신청할 때 나중에 내야 할 서류가 무엇인지 알아보고 다운로드하여 두자. 봉사 일지, 사진, 확인서 등 채워야할 항목도 체크하면 좋다.

  1. 수강신청기간에 '교육봉사'를 신청한다.
  2. 언제 봉사할지를 고려해 나머지 수업을 짜야 한다.
  3. 어디서 봉사할지도 고려한다. (오가는 시간이 있다.)

기관 찾기

쉽기도 어렵기도 한 단계다. 겁먹지 말자. 나올 때까지 인내심과 희망을 가지고 찾으면 그때 가서는 생각보다 쉽게 풀린다. 멘털 관리만 잘 하자. 비영리기관, 학교, 고등학교급 이하 교육기관 등이 가능하다. 어린이집이나 대학교는 불가능하다. (기관에 대한 내용은 다음 글에)

  1. 최대 하루 8시간
  2. 무급 (교통비 등 허용범위 내 가능)
  3. 자신이 일하고 있는 곳 제외(무급이어도 불가).

심사 단계

공지나 안내에 따라 서류를 준비하자. 작성이 안 되었다면 작성하고 틀린 곳은 없는지 확인하자. 잘 모르는 것은 조교에게 질문하면 된다. 서류 제출 후 심사가 끝나면 학점을 인정 된다. 

  1. 서류 제출하기. 
  2. 심사 결과 기다리기.
  3. 학점 인정이 안 된 경우, 문의하기
  4. 인증 받고 2학점 이수 완료!

그리 어렵지 않으니 교육봉사는 시간 여유 있을 때 해 두자. 

 

 

댓글